본문 바로가기
지식 쌓기(투자 과학 정치 등)

세탁세제 사용량은 항상 제품에 표기 되어 있다.[세제 표준 사용량]

by 잡학사랑 2021. 11. 12.
반응형

 

세제를 사게 되면 고민에 빠지게 된다. 이걸 얼마나 써야 되지? 드럼세탁기는? 통돌이는? 어떤기준에서 사용을 하지? 라는 생각을 하게된다.

빨래

세제의 표준사용량 찾기

이러한 고민은 제품을 잘 살펴 본다면 쉽게 해결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제품에 모두 표기 되어 있기 때문이다. 항상그렇냐고? 네 항상 그렇습니다. 제품의 표기 의무 사항이기 때문입니다. 구매 하신 제품이 정상적인 제품으로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뒷면에 표준사용량 주의사항 액성 성분 제조사 제품명 등 여러가지를 꼭 표기해야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을 잊었는데 그것은 자율안전확인신고필증 번호입니다. 이 번호가 있어야 세탁세제는 판매가 가능합니다. 예전에는 KC라고 했지만 지금은 자율안전확인번호입니다. 

세제관련 도움이 되는 포스팅<<<<<<<<< 시판 주방세제의 유통기한과 방부제

세제사용량 및 계량 방법

자 그러면 어디에 어떻게 표준사용량이 있는지 확인 해 보겠습니다. 대부분은 뒷쪽에 스티커든 인몰드 든 인쇄든 다양한 방법으로 표기가 되어있습니다. 

표준사용량

 

보통 뒷면에서 위 그림과 같이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보시면 일반 세탁기의 경우 물의 높이에 따라 세제의 양이 결정되고 드럼세탁기의 경우 빨래의 무게에 따라 세제의 사용량이 달라지게 됩니다.  저수위 중수위 고수위 로 분리가 되는거이 보이고 3kg이하 5kg이상 등 드럼세탁기에는 무게가 적혀있는 것이 보이실 겁니다. "그러면 계량은 어떻게 하냐" 라고 하실 텐데 보통은 비중이 물과 비슷한 수준이라 무게를 30ml면 30g 70ml이면70g 을 넣어 주시면 되고 계량컵 아니면 세제를 구매하시면 용기뚜겅을 활용해 계량이 가능합니다.

추가 적으로 확인 하셔야 할 내용은 세제의 액성입니다. 액성은 산성 약산성 중성 약알카리성(염기성) 알카리성 등을 나타 내는 것이고 세탁효율을 위해서는 알카리성으로 세척하는 것이 좋으나 울빨래의 경우 반드시 중성세제나 울 전용 세제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세제의 거품과 세척력의 상관 관계 <<<<<<<<

활성분

여담으로 위 제품은 1L당 1ml 가 아닌 것으로 봐서 세제의 활성분이 다른 세제보다 약간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세제의 사용량은 계면활성제 활성분량과 반비례를 합니다. 즉 활성분이 높을 수록 세제의 사용량이 적게 드는 것이죠. 즉 고농축 세제를 생각하시면 이해가 빠르실거 같습니다. 보통 고농축 세제는 활성분 30%이상의 제품을 말하며 일반세제에 비해서 절반 수준의 사용량으로 같은 효과를 내게 됩니다. 보통의 세제가 5~15%의 활성분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니 그 두배 또는 3배가 되게 됩니다.  

 

세제의 추가적기능성

이러한 세제에는 추가 적인 기능을 첨가제를 통해 부여할 수 있습니다. 그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소포제- 소포제는 드럼세탁기에 꼭 필요한 첨가제 입니다. 거품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거품을 방지해야하는 이유는 드럼세탁기의 경우 물살이 아이날 낙차에 의해서 세탁을 하게 되는데 거품이 너무 많이 발생하면 거품이 쿠션 역활을하여 세탁 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드럼세탁기에 따라서는 거품이 너무 꽉차게되면 기능을 멈추는 세탁기도 있으니 주의하시고 거품이 꺼질때까지 방치해도 작동하지 않으면 수리를 맡기셔야합니다. 
  • 이염방지제 - 이염방지제는 색깔옷에 다른 색깔이 옮는것을 방지해주는 것입니다. 
  • 대전방지제- 정전기를 방지해 줍니다. 특히 겨울철에 필요한 기능입니다 보통은 섬유유연제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대전방지를 하지만, 섬유유연제를 사용하지 않으시는 분은 사용하시면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스테인레스 녹이 생기는 이유와 녹제거 방법<<<<<<<<<<<<<<<

지금까지 세탁세제의 사용량과 약간의 도움이 될만한 이야기를 해봤습니다. 참고해 주시고 과량 사용하지 않고 적정량을 사용해 조금이라도 환경에 도움이 되었으면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